본문 바로가기
발달과 놀이

트라우마 이후의 변화: 놀이 흐름으로 본 회복의 지표와 의미

by 비지구구 2025. 4. 27.
반응형

—  놀이의 전환점은 무엇을 말해주는가


1. 놀이의 전환: 아이 마음의 회복을 엿보다

어린아이가 겪는 심리적 외상(트라우마)은 말로 표현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아동은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기억을 놀이에 투사하여 표출합니다. 심리치료 현장에서 이러한 놀이의 흐름은 아이 내면의 상태를 알아챌 수 있는 중요한 핵심이 됩니다.

트라우마를 겪은 아이는 초기에는 반복적이고 파괴적인 놀이 패턴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인형이 부서지거나, 탈출할 수 없는 구조물이 등장하고, 자동차 사고 등의 같은 사건이 재현됩니다. 하지만 점차 회복이 시작되면, 놀이에도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무너지던 집은 수리되고, 도망치던 인형은 누군가에게 도움을 받습니다. 이 작은 전환은 아이 마음의 회복 탄력성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핵심 포인트: 놀이의 변화는 감정 조절 능력과 현실 검증 능력의 회복을 의미함


2. 놀이 패턴 변화의 의미 있는 지점들

놀이의 전환은 급격히 나타나기보다는 점진적으로, 세심하게 관찰해야 보이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변화가 보일 수 있습니다:

  • 파괴에서 재구성으로: 무너뜨리던 블록 → 고치고 다시 쌓기
  • 피해자에서 주체로: 피해받던 인형 → 상황을 해결하는 인물로 전환
  • 은둔에서 관계로: 혼자 노는 인형 → 친구 인형 등장 후 상호작용

이러한 흐름의 변화는 아동이 내면의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하며, 외부 세계와의 관계를 회복해 가는 증거입니다. 언어로 표현하지 못했던 그 무언가의 생각과 사고와 상상이 합쳐져 점차 놀이를 통해 새로운 이야기로 재현해 나갑니다.

중요 관찰 요소: 놀이의 주제, 등장인물 간의 관계, 놀이의 시작과 끝 구도, 아이의 표정 변화


3. 실제 사례: 놀이 흐름의 전환점 분석

🌺 사례: 6세 여자아이, 교통사고 목격 이후

초기에는 매번 사고 장면을 재현했습니다. 차가 인형을 치고, 인형은 바닥에 쓰러졌습니다. 아이는 말없이 반복했으며, 감정 표현은 거의 없었습니다.

3개월 후, 치료 중 한 놀이에서는 차가 멈추고 인형을 구하는 인물이 등장했습니다. 이후부터는 병원 장면, 회복 장면이 놀이에 포함되었고, 마지막에는 인형이 친구와 함께 놀러 가는 장면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놀이의 변화는 외상 기억의 재처리를 보여주는 동시에, 아이가 감정을 받아들이고 상황을 재구성할 수 있게 되었음을 뜻합니다.

분석 포인트: 반복-도움 등장-새 이야기 생성 흐름은 심리 회복의 전형적 과정


4. 회복을 돕는 어른의 역할

놀이 흐름이 변화하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표현을 해석하거나 통제하지 않고, 그 자체를 지지하고 반영해 주는 태도입니다.

  • "이번에는 이 인형이 안 다쳤네?"와 같이 사실을 관찰한 언어로 반응하기
  • 아이가 변화를 시도할 때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
  • 아이의 리드에 따라가며 놀이 안에서 안전감 제공

심리학자 Gary Landreth는 이러한 어른의 태도를 "관계적 안정성의 제공자"로 정의하며, 놀이 흐름의 회복과 변화가 아이의 자기 치유 능력과 연결된다고 강조합니다.

핵심 역할: 놀이 흐름에 개입하지 않으면서 감정적 안전 기반 마련


5. 놀이의 끝은 시작이다: 새로운 관계 맺기의 가능성

트라우마를 회복한 아이는 놀이 주제 자체를 바꿉니다. 더 이상 과거의 반복 장면을 고집하지 않고, 미래를 상상하는 놀이, 창의적 역할극,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활동으로 더 흥미를 보입니다.

이 시점에서 놀이의 끝은 더 이상 고통의 재현이 아닌, 새로운 삶의 이야기의 시작이 됩니다. 치료자들은 이 시기를 치료 종료의 지표로 삼기도 합니다.

전환의 시그널: 놀이의 다양성 증가, 놀이 중 감정 표현의 자연스러움, 상호작용적 놀이 빈도 상승


참고 문헌

  • Landreth, G. L. (2012).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 Oaklander, V. (2007). Hidden Treasure: A Map to the Child’s Inner Self.
  • Terr, L. (1991). Childhood traumas: An outline and overview.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마무리

놀이 흐름의 변화는 아이의 마음이 회복되고 있다는 가장 진실한 신호입니다. 반복과 파괴 속에서 새로운 이야기와 관계를 만들어내는 전환점은, 말보다 강력한 회복의 메세지가 됩니다. 심리 전문가뿐 아니라 부모와 교사도 이 흐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통해 아이의 심리 회복 과정을 함께 따라가 봅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