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반복 놀이에는 아이가 분명하게 말하고 있는 **‘심리적 신호’**가 담겨 있다. 놀이치료 현장에서 자주 마주하게 되는 이 ‘놀이 순환’은 아이의 감정 조절, 통제감 회복, 자기 이해라는 깊은 성장의 포인트들을 지나가고 있다.
🧠 반복 놀이의 심리학: 단순함 속에 감춰진 복잡성
놀이치료사들은 흔히 이런 장면을 본다.
아이 한 명이 계속해서 기차놀이를 반복한다. 터널을 통과하고, 역에 정차하고, 다시 출발한다. 때로는 열차가 탈선하고 다시 올려지기도 한다.
어떤 이들은 “그냥 기차를 매우 좋아하는 거겠지”라고 말한다.
하지만 치료적 시선은 묻는다.
“왜 같은 방식으로, 집요할 정도로 반복할까?”
이는 아이가 내면에서 경험한 무질서를, 예측 가능한 구조로 회복하려는 시도일 수 있다.
실제로 심리학자 Jean Piaget는 아이들이 반복 행동을 통해 세상에 대한 ‘스키마(schema)’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 놀이가 아니라 내적 통합의 표현일 수 있다는 것이다.
🎯 반복 패턴의 유형별 해석
다음은 치료 현장에서 자주 관찰되는 반복 놀이 유형과 그에 대한 심리적 해석이다.
1. 기차놀이의 반복 → 통제감 회복, 질서에 대한 갈망
- 아이가 어떤 외적 상황(예: 이사, 부모 이혼 등)에서 무질서를 경험한 경우, 규칙적인 선로를 따라 움직이는 기차를 반복적으로 놀이한다.
- 🚂 반복적 선로 = 예측 가능한 세계
- 🚧 탈선 후 다시 올림 = 문제 해결 능력 회복 시도
2. 집 짓기 놀이의 반복 → 안정감 구축
- 블록을 쌓아 똑같은 집을 반복해서 만드는 경우, 아이는 ‘안전한 공간’에 대한 환상을 구현 중일 수 있다.
- 🧱 반복적인 구축과 붕괴 = 심리적 재건 연습
3. 동물 인형을 같은 순서로 배열 → 관계에 대한 탐색
- 인형 놀이에서 항상 같은 대화를 반복하는 경우, 이는 과거의 경험(예: 혼잣말, 훈육, 버림받은 감정 등)을 재현하거나 감정 처리 중인 신호.
※ 이런 놀이의 반복성은 단지 '지루함'이나 '기계적인 행동'이 아니다.
오히려 아이가 자기 안의 혼란을 감당하기 위한 건강한 전략일 수 있다.
👩⚕️ 치료사의 역할: 반복 안에서 변화를 읽는 시선
치료사는 단순히 놀이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라, 놀이의 흐름과 반복의 리듬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기차놀이에서 반복적으로 “사고”가 발생하던 아이가, 어느 순간부터 기차를 무사히 도착시키기 시작했다면, 이는 명확한 심리적 회복의 신호다.
또한, 반복의 패턴이 점차 다양화되는 것도 변화에 따른 의미를 살펴볼 수 있다.
- 🎉 놀이의 확장: 심리적 자율성 증가
- 📦 상상 요소의 등장: 창의성 회복, 트라우마의 거리 두기
📖 실제 사례: 반복 놀이를 통한 정서 안정
사례: 6세 남아, 반복적인 터널 통과 놀이
- 배경: 갑작스러운 동생 출산으로 어머니의 관심이 줄었다고 느낀 아이
- 놀이 양상: 기차를 터널에 넣고, 나올 때마다 “여기야!” 외침
- 치료적 해석: 터널 = 보이지 않는 엄마의 품, 반복적 등장 = 자신이 보이기를 원하는 욕구
- 진행 변화: 몇 주 후부터 터널을 여러 개로 바꾸고, 인형 친구들을 같이 태워 이동함.
→ 이는 사회성 확장과 감정 표현의 유연성 회복을 의미한다.
🔍 왜 반복 놀이를 ‘치료의 언어’로 보아야 하는가?
아이들은 언어로 감정을 완전히 표현하기 어렵다. 대신 놀이를 언어로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반복은 아이가 그 감정을 더 오래 붙잡고, 여러 각도에서 다시 들여다보는 방식이다.
반복은 회피가 아니라, 통합을 위한 과정이다.
이를 통해 자기 자신과의 거리 조절, 안정된 경험의 축적, 외부 세계와의 재접촉이 가능해진다. 놀이치료에서는 이를 ‘놀이 순환의 회복적 기능’이라 말한다.
✅ 핵심 포인트 요약
- 반복 놀이는 아이의 심리적 회복 과정의 일부다.
- 놀이의 패턴 변화는 정서 회복, 자기 통제감, 안정화의 신호다.
- 치료적 관찰을 통해, 반복의 맥락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놀이의 확장성은 회복이 시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 참고 문헌 및 권장 자료
- Axline, V. (1947). Play Therapy. Ballantine Books.
- Landreth, G. (2012).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Routledge.
- Piaget, J. (1951). Play, Dreams and Imitation in Childhood. Routledge & Kegan Paul.
- 김현수 (2018). 《사라진 감정 찾기》. 철수와영희.
-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자료집 (2023)
이 글은 **"아이들의 놀이 안에 숨겨진 성장 시그널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힘"**을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기획되었습니다.
같은 놀이를 반복한다고 해서 무시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 안에서 의미하는 감정의 목소리를 함께 듣는 것이 눈높이를 맞추며 함께 성장하는 길일 것입니다. 또한, ‘함께하는 어른’의 역할일 것입니다.
'발달과 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마음을 여는 비폭력 대화 놀이 5선 — 오늘 집에서 바로 해보세요 (0) | 2025.04.30 |
---|---|
"비폭력 대화로 아이 자존감을 키우는 7분 놀이 루틴" (0) | 2025.04.29 |
트라우마 이후의 변화: 놀이 흐름으로 본 회복의 지표와 의미 (0) | 2025.04.27 |
놀이를 통한 트라우마 회복: 말로 설명 못 하는 아이들의 ‘심리적 회복 과정’ (0) | 2025.04.27 |
‘놀이의 공백기’ — 놀이치료에서 아이가 갑자기 놀이를 멈출 때 나타나는 심리학적 의미 (0) | 2025.04.26 |
놀이치료사의 감정 일지: 아동 상담 중 심리치료사가 느끼는 감정과 소진 극복법 (0) | 2025.04.26 |
심리치료사의 관점에서 본 ‘아이의 상상 친구’ — 보이지 않는 친구가 알려주는 정서적 단서 (0) | 2025.04.25 |
부모-아이 공동 심리치료 놀이: 유대감을 키우는 놀이형 치료법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