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세상을 배우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과 마음을 표현합니다. 특히나 부모와 함께하는 놀이 시간은 아이의 정서 안정과 애착 형성에 매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여기에 더해 ‘부모-아이 공동 심리치료 놀이’는 즐거운 활동이라는 점을 넘어 심리적 치료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는 최고의 접근법입니다.
공동 심리치료 놀이란 무엇인가요?
공동 심리치료 놀이는 부모가 놀이치료 세션에 직접 참여하여 아이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능력 발달을 돕는 가족 심리치료 한 형태입니다. 놀이 속에서 아이는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감정을 행동과 상징을 통해 드러내며, 부모는 이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법을 배웁니다.
실제로 연구에 따르면 부모가 함께 참여한 놀이치료는 아이의 불안, 공격성, 정서적 위축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있습니다[1].
공동 놀이치료가 가져오는 심리적 효과
- 애착관계 강화: 부모와 아이 사이의 신뢰와 애정을 깊이 있게 재구성합니다.
- 감정 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놀이 중 부모가 아이의 감정을 명확히 언어화해주며, 아이도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게 됩니다.
- 문제 행동 감소: 아이의 공격성, 불안, 회피행동이 줄어들고 긍정적 상호작용이 증가합니다[2].
실제 사례: 분리불안 아동과 부모의 변화
7세인 지영(가명)이는 유치원에서 자주 울며 부모 곁을 떠나기 힘들어하는 심한 분리불안을 겪었습니다. 심리상담센터에서는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놀이(심리)치료를 권장했고, 초기에는 '감정 카드 놀이'를 활용해 아이가 하루 동안 느낀 기분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활동으로 시작했습니다.
8주간의 꾸준한 놀이치료 결과, 지민은 "오늘은 기분이 서운했어요."라는 식으로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시작했고, 부모도 아이의 감정적 필요를 더 빨리 인지하고 수용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분리불안은 점차 줄어들었고, 아이의 전반적인 사회적 적응 능력 또한 향상되었습니다.
가정에서 실천 가능한 심리치료 놀이 추천
- 감정 카드 놀이: 하루 동안 겪은 감정을 카드로 표현하고 서로 공감하는 활동입니다.
- 역할 바꾸기 역할극: 부모와 아이가 서로의 입장을 바꾸어 일상 속 갈등 상황을 재현하며 소통 능력을 기릅니다.
- 감정 저널 쓰기: 부모와 아이가 매일 자신의 감정을 짧게 기록하고, 서로 공유하며 소통하는 놀이형 글쓰기입니다.
전문가가 권장하는 놀이치료 주의사항
- 평가나 지적을 자제하세요: 놀이 시간은 아이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시간입니다.
- 부모의 적극적인 경청과 반응: 아이의 언어나 행동을 잘 관찰하고 반응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일관성과 성실함: 치료 효과는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안정적으로 나타납니다.
결론: 부모와 아이의 마음을 연결하는 시간
부모-아이 공동 심리치료 놀이는 아이의 정서 발달을 돕고, 가족 내 유대감을 단단하게 해주는 효과적인 심리적 방법입니다. 짧은 놀이 시간이라도 아이와 정서적으로 소통하려는 노력이 반복되고 지속될수록, 아이는 안정감을 높이며 몸과 마음이 건강한 아이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놀이부터 실천해보세요. 놀이를 통한 교류가 아이의 마음을 여는 가장 따뜻한 치료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 Bratton, S. C., Ray, D., Rhine, T., & Jones, L. (2005). The efficacy of play therapy with children: A meta-analytic review of treatment outcome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6(4), 376-390.
- Landreth, G. L. (2012). Play therapy: The art of the relationship (3rd ed.). New York: Routledge.
- 최은경, 김현진. (2022). 부모 참여 놀이치료가 유아의 정서조절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4(2), 115-132.
'발달과 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이를 통한 트라우마 회복: 말로 설명 못 하는 아이들의 ‘심리적 회복 과정’ (0) | 2025.04.27 |
---|---|
‘놀이의 공백기’ — 놀이치료에서 아이가 갑자기 놀이를 멈출 때 나타나는 심리학적 의미 (0) | 2025.04.26 |
놀이치료사의 감정 일지: 아동 상담 중 심리치료사가 느끼는 감정과 소진 극복법 (0) | 2025.04.26 |
심리치료사의 관점에서 본 ‘아이의 상상 친구’ — 보이지 않는 친구가 알려주는 정서적 단서 (0) | 2025.04.25 |
아이의 발달을 돕는 ‘놀이 관찰 일지’ 작성법: 부모를 위한 실전 가이드 (0) | 2025.04.23 |
🚀 AI가 분석하는 우리 아이 놀이 패턴: 행동 데이터로 발달 체크하는 시대 (0) | 2025.04.21 |
놀이 심리치료사의 하루: 실제 사례로 보는 아이들의 감정 세계 (0) | 2025.04.20 |
영유아 발달의 초기 징후 ②: 주의력 결핍이 사회성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