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왜 "7분 비폭력 대화" 놀이인가?
아이들의 자존감은 그저 무조건 적인 칭찬이나 성공 경험만으로 키워지지 않습니다.
진짜 자존감은 자신의 감정을 존중받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경험 속에서 성장합니다.
미국 심리학자 마셜 로젠버그(Marshall Rosenberg)가 창시한 비폭력 대화(NVC, Nonviolent Communication) 이론에 따르면,
"진정한 공감과 인정"이 인간 내면의 성장을 이끈다고 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바쁩니다. 긴 대화는 어렵고, 아이도 금방 지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단 7분" 투자로, 아이 마음속 자존감 씨앗을 심는 비폭력 대화 놀이 루틴!
본론: 7분 비폭력 대화 놀이 루틴 소개
⏰ 준비 시간: 단 7분
👉 매일 같은 시간(취침 전, 등원 전 등)에 짧게 진행하면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1. "오늘 있었던 감정 색깔 고르기" (2분)
방법:
아이에게 오늘 하루를 하나의 색깔로 표현하게 합니다.
- 예) "오늘은 노란색 기분이었어!" (신나고 밝음)
- 예) "오늘은 회색 같아..." (조금 우울함)
비폭력 대화 포인트:
👉 아이의 감정을 고치려 하지 말고, "그렇구나, 네 기분을 알려줘서 고마워." 라고 반응하세요.
근거:
- [출처] Gottman, J. (1997). "The Heart of Parenting". 감정 이름을 붙이는 경험이 아이 정서지능(EQ)을 높입니다.
2. "감정 지도 그리기" (3분)
방법:
A4 용지를 펼쳐 아이와 함께 "오늘의 마음 지도"를 그립니다.
- 기분 좋았던 순간은 동그라미
- 속상했던 순간은 세모
- 웃었던 순간은 별
등으로 표시해봅니다.
비폭력 대화 포인트:
👉 아이가 어떤 순간을 그리더라도, 평가하지 않습니다. "왜 그랬어?" 대신 "그 순간 어땠어?"라고 질문하세요.
실제 사례:
5세 아이를 둔 김모 씨(서울 강남구)는 이 놀이를 꾸준히 한 결과, 아이가 "오늘 유치원에서 친구랑 싸워서 속상했어"를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합니다.
3. "사랑과 고마움 말하기" (2분)
방법:
서로에게 오늘 느낀 '고마운 점' 또는 '좋았던 점'을 하나씩 말합니다.
- 예) "네가 오늘 나한테 웃어줬을 때 정말 행복했어."
- 예) "아빠가 같이 놀아줘서 고마웠어!"
비폭력 대화 포인트:
👉 '행동'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칭찬하고, 조건 없이 사랑을 표현하세요.
근거:
- [출처] Baumeister, R. F., & Leary, M. R. (1995). "The need to belong: Desire for interpersonal attachments as a fundamental human motivation." 인간은 "조건 없는 수용" 경험을 통해 자기 존중감을 키웁니다.
결론: 7분이 쌓이면, 아이 인생이 바뀝니다
매일 7분. 짧지만 깊은 대화를 통해, 아이는 이렇게 성장합니다.
- 자신의 감정을 부끄러워하지 않습니다.
- 세상과 건강한 관계를 맺는 법을 배웁니다.
- 스스로를 믿고 사랑하는 힘을 키웁니다.
"아이의 자존감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매일 7분씩, 우리는 작은 기적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정리 요약
1단계 | 감정 색깔 고르기 | 감정 인정 |
2단계 | 감정 지도 그리기 | 공감과 경청 |
3단계 | 고마움 말하기 | 조건 없는 사랑 표현 |
오늘 비폭력 대화의 핵심대로 루틴대로 한 번 실천해 보세요!!
'발달과 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 마음을 여는 비폭력 대화 놀이 5선 — 오늘 집에서 바로 해보세요 (0) | 2025.04.30 |
---|---|
놀이치료 관점에서 본 ‘아이의 놀이 순환 패턴’: 주기적 반복 속 숨겨진 성장 신호 (0) | 2025.04.28 |
트라우마 이후의 변화: 놀이 흐름으로 본 회복의 지표와 의미 (0) | 2025.04.27 |
놀이를 통한 트라우마 회복: 말로 설명 못 하는 아이들의 ‘심리적 회복 과정’ (0) | 2025.04.27 |
‘놀이의 공백기’ — 놀이치료에서 아이가 갑자기 놀이를 멈출 때 나타나는 심리학적 의미 (0) | 2025.04.26 |
놀이치료사의 감정 일지: 아동 상담 중 심리치료사가 느끼는 감정과 소진 극복법 (0) | 2025.04.26 |
심리치료사의 관점에서 본 ‘아이의 상상 친구’ — 보이지 않는 친구가 알려주는 정서적 단서 (0) | 2025.04.25 |
부모-아이 공동 심리치료 놀이: 유대감을 키우는 놀이형 치료법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