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과 놀이

분노 폭발 및 공격적인 아동의 발달 특성과 개입 방법

by 비지구구 2025. 3. 25.
반응형

 

  우리 아이가 자주 분노를 폭발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을 보인다면, 조기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 원인과 해결책을 본 글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분노 폭발 및 공격적인 아동의 발달적 특성

아동이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은 발달 과정에서 양육 형태나 주변 환경적 요소 또한 기질적 요소 등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일부 아동은 유독 분노를 강하게 표현하거나 공격적인 행동이 심하게 크고 이에 대한 개입이 필요해 보이기도 합니다. 그 특징을 영역별로 살펴보면 이러합니다. 

① 정서적 특징

  •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어려워함
  • 작은 좌절에도 강한 분노를 느끼고 폭발적 반응 보임
  • 충동 조절이 어려워 순간적인 감정에 따라 행동

② 행동적 특징

  • 소리를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는 행동
  • 또래 친구 또는 가족을 물리적으로 공격
  • 자신을 해치는 자해 행동(머리 박기, 손톱 물어뜯기 등)

③ 신체적 반응

  • 화가 날 때 심장이 빨리 뛰고 얼굴이 붉어지거나 콧구멍에 힘이 들어감.
  • 근육이 긴장되거나 주먹을 꽉 쥐는 모습 보임
  • 화가 날 때 몸을 심하게 흔들거나 강하게 움켜쥠

2. 분노 폭발 및 공격적인 행동의 원인

아동의 분노 조절 문제는 단순한 성격 문제가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서 비롯될 수 있습니다.

① 기질적 요인

타고난 기질이 예민하거나 감정 조절이 어려운 경우, 좌절을 더 강하게 경험하고 이에 대한 화를 표현 할 수 있습니다.

② 환경적 요인

가정 내 불안정한 환경(부모의 잦은 갈등, 체벌 등), 친구와의 갈등, 스트레스 등이 분노 폭발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③ 신경학적 요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반항성 장애(ODD), 감각 처리 문제 등이 분노 조절 어려움과 연관된 신경학적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분노 조절을 위한 개입 방법

분노 폭발을 줄이고 건강한 감정 표현을 돕기 위해 부모, 전문가, 병원의 협력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① 부모의 역할

  • 모델링 제공: 부모가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기
  • 긍정적 피드백: 아이가 감정을 조절했을 때 칭찬과 보상을 제공하여 올바른 행동을 강화하기
  • 안전한 감정 표현 공간 제공: "화가 날 때 어떻게 표현하고 싶어?"와 같은 질문을 던져 감정을 이야기할 기회를 주기

② 놀이 치료 활용

놀이를 통해 아이가 분노를 건강하게 표현하도록 하기

  • 역할 놀이: 인형극이나 역할 놀이를 통해 감정을 표현하고 드러내면서 조절하는 연습을 하기
  • 미술 놀이: 그림을 그리거나 찰흙을 활용하여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기
  • 감각 놀이: 모래 놀이, 물놀이, 촉감 놀이 그리고 슬라임 등을 통해 긴장을 완화시키기

③ 전문가 상담 및 병원 진료

분노 조절 문제가 심각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심리 상담 및 치료를 통해 도움을 받습니다.

  • 놀이 치료사, 심리 상담사와의 상담을 통해 감정 조절 방법을 익힙니다.
  • 인지행동치료(CBT)를 통해 충동을 조절하고 분노를 다루는 기술을 배울 수 있습니다.

✅ 병원 진료 및 검사를 고려해 봅니다.

  • 신경 발달 검사를 통해 ADHD, 반항성 장애(ODD) 등의 진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 감각 처리 문제(SPD)가 의심될 경우 감각 통합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4. 분노 조절을 위한 실천 방법

아이가 가정과 학교에서 실천할 수 있는 분노 조절 방법 실행하기

① '화가 난다'고 말하는 연습하기

“난 지금 화가 나!”라고 말하는 습관을 기르면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하기

② '마음 진정 카드' 만들기

아이와 함께 '화날 때 할 수 있는 방법'을 적은 카드를 만들어, 화가 날 때 참고하여 실행하기

③ 몸을 움직여 분노 해소하기

줄넘기, 공 차기, 달리기 등 신체 활동을 통해 분노를 에너지로 표출하기를 통해 정서적 해소를 돕기

 

맺음말

분노 폭발과 공격적인 행동은 적절한 개입을 통해 충분히 긍정적인 방법으로 행동화 될 수 있습니다. 부모, 전문가, 병원의 협력을 통해 아이가 건강한 감정 조절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오늘부터 적극 도와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