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택적 함묵증(Selective Mutism)은 특정 상황이나 환경에서 말을 하지 상태를 말합니다. 가벼운 수줍음 정도에서 나타나는 말없는 아동의 모습과는 다르며, 심리적 요인과 연관된 경우도 많아 조기에 개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글에서는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체크해야 할 요소와 실제적인 지원 방법을 알아봅니다.
1.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발달 과정에서 체크해야 할 요소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언어 및 사회적 발달을 점검해 보고자 할 때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체크해야 합니다.
✅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
- 가정 내에서는 정상적으로 말하지만 학교나 낯선 환경에서는 침묵하는가?
- 말이 없는 대신 몸짓 반응이나 고개 끄덕임 등 비언어적 표현을 사용하는가?
- 친숙한 사람에게 속삭이듯 말하는 경향이 빈번하게 있는가?
✅ 감정 및 행동 반응
- 새로운 환경에서 불안이나 긴장이 자주 나타나는가?
- 또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이 원활한가?
- 자신의 의견을 말해야 하는 상황에서 극심한 수줍음 및 반응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는 등의 모습을 나타내는가?
2. 선택적 함묵증 아동에게 도움이 되는 실제적인 방법
선택적 함묵증 아동을 돕기 위해 부모와 교사가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정에서의 지원 방법
- 아이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하되 강요하지 않기
- 아이가 말을 하지 않아도 의사소통 방법(그림, 글쓰기 등)을 제공하기
- 작은 성공 경험을 쌓도록 격려해주기
🏫 학교 및 교사의 역할
- 아이가 압박을 느끼지 않고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환경을 조성하기
-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활동을 격려하기
- 교사가 아이의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간단한 알림부터 눈맞추기 등 작은 상호작용 부터 점진적으로 접근하기
3. 조기 개입이 중요한 이유
선택적 함묵증을 조기에 인식하고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면 아동이 자신감을 키우고 사회적 관계를 더욱 원활하게 형성해 나갈 수 있습니다. 전문가 상담과 행동 치료가 병행되면 더욱 효과적인 예후가 나타나며, 부모와 교사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 선택적 함묵증 치료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치료 방법 | 설명 |
---|---|
인지행동치료(CBT) | 불안감 조절 및 점진적 노출을 통해 말하기 연습 |
놀이치료 | 아이가 편안한 분위기에서 감정을 표현하도록 유도 |
음성 녹음법 | 아이의 녹음된 음성을 듣고 점진적으로 말하기 연습 |
마무리
선택적 함묵증 아동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강요하지 않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부모와 교사의 협력이 필요하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 볼 방법입니다. 아이가 점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배려가 필요합니다.
* 전문가의 도움은 가까운 '아동 발달 센터' 및 '아동 청소년 상담'센터를 통해 문의해 보실 수 있습니다.
📚 참고 자료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22).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TR).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 Krysanski, V. L. (2003). "A Review of Selective Mutism: What the Past 15 Years Have Taught U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1(4), 317-336. [논문 보기]
- Johnson, M., & Wintgens, A. (2016). The Selective Mutism Resource Manual. Routledge.
- Viana, A. G., Beidel, D. C., & Rabian, B. (2009). "Selective Mutism: A Review and Integration of the Last 15 Year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9(1), 57-67. <a href="https://doi.org/10.1016/j.cpr.2008.09
반응형
'발달과 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의 훈육과 가스라이팅의 차이: 자녀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방법 (0) | 2025.03.29 |
---|---|
“유태인 육아의 비밀: 자율성과 사고력을 향상시키는 현대 부모를 위한 적용 가이드” (0) | 2025.03.28 |
영유아기 ‘바퀴 굴리기’ 행동, 괜찮을까? 🚗|특성과 발달 도움을 위한 부모 가이드 (0) | 2025.03.28 |
고집 센 아이, 어떻게 다룰까? 🎯|특성과 효과적인 육아법 & 놀이 개입 방법 (0) | 2025.03.27 |
우울한 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변화 - 놀이를 통한 개입 방법 (0) | 2025.03.25 |
분노 폭발 및 공격적인 아동의 발달 특성과 개입 방법 (0) | 2025.03.25 |
놀이와 심리적 건강 및 육체적 건강의 관계 비교 분석 (0) | 2025.03.24 |
또래 관계에서 상처받은 아이를 위한 치유 놀이: 학교 적응과 관계 회복을 돕는 놀이법 (0)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