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달과 놀이

부모 세대의 놀이 트라우마 — 나는 왜 아이의 놀이를 불안해할까?

by 비지구구 2025. 4. 12.
반응형

✔️ 서론: 문제 제기

“아이를 마음껏 놀게 해주고 싶어요.
그런데 막상 노는 모습을 보면 잘 하고 있는 것인지 불안해져요.”

이런 생각, 혹시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놀지 못했던 과거의 경험이, 현재의 양육을 무의식적으로 지배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것이 바로 놀이 트라우마 입니다.


✔️ 본문1: 놀이 트라우마란 무엇인가?

놀이 트라우마란,
유년기에 충분히 놀지 못한 경험이 남긴 정서적 기억이자 상처입니다.

놀이를 자유롭게 허용받지 못하고,
공부, 규율, 성취 중심 환경에서 성장한 경험은
자녀를 키우는 과정에서 놀이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불안 심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본문2: 세대 전이 이론으로 본 부모-자녀 놀이 심리

심리학 용어로 이를 세대 전이(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라고 부릅니다.

부모 세대가 겪은 정서적 패턴은
자녀 양육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반복됩니다.
(출처: Main, M. & Hesse, E. (1990). "Adult Attachment and Parental Behavior")

예를 들어,

  • 자유롭게 놀아본 적이 없는 부모 → 아이가 노는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주 제지.
  • 놀이 시간보다 학습 시간에 가치를 둔 경험 → 아이의 놀이를 ‘쓸데없는 시간’으로 해석.

✔️ 본문3: 실제 사례

40대 부모 A씨:
"아이에게 놀이 시간을 주는 게 맞다는 걸 알지만,
보면 자꾸 불안해서 결국 ‘공부는 언제 하냐’고 묻고 있어요."

이처럼 부모 자신의 유년기 경험이
자녀 놀이에 대한 불안, 통제, 개입 욕구를 유발합니다.


✔️ 본문4: 놀이 트라우마 치유를 위한 접근

1️⃣ 자기 이해
→ "나는 어린 시절 어떤 놀이를 경험했나?" 자문해보기.

2️⃣ 아이와의 공동 놀이
→ 지시하지 않고, 아이의 놀이 흐름을 따르며 감정 연결.

3️⃣ 부모 감정 기록
→ 아이가 놀 때 느끼는 자신의 불안, 초조함을 적어보고 원인을 탐색.


✔️ 결론: 놀이를 지켜보는 법은 부모가 스스로 배워야 한다

아이의 놀이는 발달 도구이자 감정 표현 방식입니다.
부모가 자신을 돌아볼 때, 아이도 놀이 속에서 더 자유롭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아이와 부모 모두의 내면을 치유하는 첫걸음은
놀이에 대한 경계심을 내려놓고 함께 바라보는 일입니다.


💡 출처/참고문헌

  • Main, M., & Hesse, E. (1990). "Adult Attachment and Parental Behavior: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Attachment".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 Winnicott, D.W. (1971). "Playing and Reality". Tavistock.
반응형